계절성 우울증은 계절성 정동장애로도 불리는 기분 장애, 감정 장애 중 하나입니다. 말 그대로 어떤 특정한 계절에 신체의 변화(나른함, 피곤함)를 느끼거나, 기분 변화, 예를 들면 감정 기복, 우울감, 무기력함 등을 보이는 것인데요. 보통은 일조량이 줄어드는 계절이나 환절기에 많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갑자기 느껴지는 봄 우울증 같은 계절성 우울증 원인, 증상, 해결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봄 우울증, 계절성 우울증 원인
계절성 우울증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주된 것은 햇빛의 감소(일조량 감소)입니다. 또 날씨가 추우면 생존을 위해 활동이 감소하게 되는데요. 추운 날씨 탓에 외부 활동이 줄어들고 운동량이 줄어들면서 자연스럽게 무기력증이 나타날 수 있고 이러한 무기력증이 기분에까지 영향을 미쳐 우울함을 느끼게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봄에는 추웠던 날씨가 풀리면서 날이 따뜻해지고, 겨울보다 상대적으로 일조량도 늘어나는데 왜 계절성 우울증이 나타나는 걸까요? 우선 봄은 계절이 크게 변하는 환절기이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몸은 겨울 동안 추운 날씨와 적은 양의 햇빛에 이미 적응해 있습니다. 하지만 봄이 되면서 기온과 일조량에도 변화가 생기고, 우리 몸은 이 변화를 꽤 힘들어합니다. 갑자기 변해 버린 날씨와 햇빛 양에 뇌가 혼란스러워하고 균형을 잘 잡지 못하는 것입니다.
세로토닌 역시 계절성 우울증이 나타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세로토닌은 신경 전달 물질 중 하나로 기분이나 수면, 인지, 기억 등과 같은 부분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봄 우울증, 봄에 우울한 기분 등은 이 세로토닌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계절성 우울증 증상
계절성 우울증 증상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우울증과 비슷합니다. 이전에는 잘 느끼지 못하다가 계절이 바뀌면서 갑자기 우울감, 무기력함, 번아웃 등의 증상이 생긴다면 이것은 계절성 우울증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또, 불면증, 식욕 저하, 집중력 저하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감정 기복, 짜증, 불안 같은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계절성 우울증 극복, 해결 방법
계절성 우울증도 다른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심한 경우에는 병원 진료를 받은 후 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그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우울감 극복에 좋은 운동이나 가벼운 산책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가볍게 자전거를 탄다거나, 힘들지 않은 신체 활동은 다른 치료와 병행했을 때 그 치료 효과를 더 호전시키기도 합니다. 운동 외에 또 다른 방법은 비타민 D의 섭취가 있는데요. 우울감이 일조량, 빛 등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아 충분한 햇볕을 쬔다거나, 그래도 부족한 경우에는 비타민 D를 섭취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