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열등감 뜻, 정의, 열등감 원인, 열등감 높은 사람, 특징, 열등감 종류

by xoxo_lily 2023. 2. 23.
반응형

열등감은 우리가 매우 쉽게 느낄 수 있는 감정 중 하나이다. 단순하게 보았을 때는 내가 다른 사람보다 못하다고 생각하고, 또 그 사람과 나를 비교하여 내가 부족하다고 믿는 것이다. 그것이 사실이 아닐지라도 훨씬 더 크게 생각하는 것이다. 이것을 심리학적으로 설명하면, 자기 자신이 다른 사람에 비하여 어떤 식으로든 더 부족하거나 더 열등하다고 믿도록 만드는, 강한 개인적인 부적절감이라고 한다. 이러한 감정은 열등감 콤플렉스라고도 부른다.

 

1. 열등감의 정의

열등감, 열등감 콤플렉스라는 개념은 애들러 심리학 창시자인 알프레드 아들러에 의하여 심리학의 정신분석 분야에 도입되었다. 프로이트 역시 이 개념을 많이 사용하였었는데, 이렇게 심리학에서 열등감이라는 정의가 제대로 자리잡으면서부터는 프로이트의 이론과 개념은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콤플렉스라는 개념을 처음 만들어 낸 칼 융 역시 열등감과 열등감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종종 사용하였다. 요즘에는 열등감 대신 자존감 부족이라는 용어로 대체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2. 열등감 원인

앞에서도 이야기한 것과 같이 열등감은 모든 사람들의 마음속에 크거나 작게 모두 존재하고 있다. 아들러는 열등감의 원인을 어린 시절의 양육 방식에서 찾았다. 어렸을 때 형제, 자매와 지속적으로 불리하게 비교를 당했다거나, 또래 친구들 사이에서 낮은 사회적 지위를 경험했던 것, 또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너무 통제되고 제한된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 등을 들 수 있겠다. 열등감은 우울증 같은 증상처럼 질병으로 정의할 수는 없고, 아들러에 따르면 오히려 적절하고 건강한 열등감은 자기 발전을 위한 노력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3. 열등감 높은 사람, 열등감 예시

열등감이 높은 사람, 특히 열등감이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면 우울증과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도 있으며, 또 부정적인 감정에 빠져 더는 발전을 위한 노력을 하지 않게 만들어 그 자리에 머무를 수밖에 없도록 만들기도 한다. 열등감이 높으면 개개인이 어떠한 방식으로 과잉 보상에 빠지게 만들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키가 평균보다 작아서 자신의 키에 열등감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남들에게 자신이 어떻게 보일지에 대해 지나치게 깊게 생각하거나 신경을 쓸 수 있다.

 

이것은 키가 매우 작았던 나폴레옹의 이름을 따서 나폴레옹 콤플렉스라고도 불린다. 이렇게 과도하고 지나친 생각을 하면서 남들보다 더 키가 커 보이기 위하여 점점 더 굽이 높은, 혹은 키높이 신발 같은 것에 집착하게 되거나 사회에서 친구를 만나거나 누군가와 관계를 맺을 때도 본인보다 키가 작은 사람을 선호하며 그런 사람들과만 있으려고 하기도 한다. 여기까지는 그저 소소한 버릇이나 습관으로 볼 수 있지만, 이것이 점점 더 극단적으로 가게 되면 노이로제가 될 수도 있다. 강박적으로 자신보다 작은 사람들과만 만나려고 하고, 본인보다 큰 사람들 옆에 가는 것이 두려워지며, 혹은 키높이 신발이나 굽 높은 신발 없이는 밖에 나가지 못한다거나 신발을 벗기 두려워하는 것이다. 또, 이러한 증상들이 너무 과도해지다 보면 과도한 경쟁이나 공격을 하게 되고 겉으로 본인을 굉장히 과시하는 경향을 보일 수도 있다.

 

4. 열등감 종류

아들러의 심리학에서 열등감은 두 종류로 나뉜다. 일차적 열등감과 이차적 열등감이다. 일차적 열등감은 어린 시절에, 또 부모에 뿌리를 두고 있다. 신체적으로 약점을 가지고 태어난 어린 아이가 그것에 대해 무력감을 느끼게 되거나, 부모의 애정 혹은 수용 같은 것들이 결여되었을 때 발생하게 되며, 이것이 자라면서 형제나 자매, 애인, 또 다른 사람들과 비교당하는 경험을 통하여 점점 심화될 수 있다.

이차적 열등감은 본인의 잠재의식과 관련이 있다. 다 자란 이후 성인의 경험과 관련되고, 또 이것을 보상하기 위해 주관적으로 생각한 안전이나 성공이라는 허구의 최종 목표에 안심하는 감정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런 이차적 열등감은 원래 본인이 가지고 있던 일차적 열등감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