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인생과 심리학-중년기, 중년 심리학, 중년 마음가짐, 중년 우울증, 중년 우울증 극복 방법

by xoxo_lily 2023. 2. 19.
반응형

인생과 심리학, 중년기

융에 따르면 중년기와 노년기에서 사람들은 보다 더 정신적인 가치에 중점을 두게 된다. 인생의 초반이라 할 수 있는 아동기와 청소년기를 포함한 청년기에는 보다 더 외면적인 문제, 예를 들면 사회에서 자신의 가치를 확립하거나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의 위치를 구축하는 등 외향적인 가치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면 중년기와 노년기에서는 그러한 외적인 가치들보다 본인 내면을 돌아보고 성찰하며 더 단단히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1. 중년기 마음가짐, 중년기 심리학

- 중년기 마음가짐, 중년 심리학

중년기는 보통 서른 살 후반에서 마흔 살 이후로 볼 수 있다. 이 시기에 인간은 이미 사회에 대한 적응이나 외적 환경에 적응이 된 상태이며, 사회적 지위가 높고 낮음은 상관없이 본인의 상황에 안정감을 느끼고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회사에서도 어느 정도 높은 자리에 있게 되고, 업무는 능숙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결혼을 하고, 바란다면 아이도 갖고 있을 것이다. 이웃들과의 관계라든지 사회에 무언가를 기여하고 싶다면 그런 일들도 어느 정도 체계가 잡혀 있을 것이다. 인간이 살면서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인 좌절감이나 실망감, 우울감, 불만 등등은 느끼게 되는 것이 당연하지만 그런 감정들을 차치한다면, 이제 삶은 자리가 잡히고 안정적이라고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안정감 속에서도 사실 사람들의 내면은 계속 성장할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의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계속해서 고찰해야 한다.

 

앞서 말했듯 인생 전반부의 청년기까지는 외부 환경에 적응하고 자신의 가치를 확립하는 데에 힘을 썼다면, 중년기부터는 정신적인 가치를 인식하고 이것을 성장시키는 데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융은 주장하였다. 정신적인 가치는 사람이 태어나면서 늘 정신 속에 잠재되어 있지만, 청년기까지는 외부 요인이나 물질적인 것들에 더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이 가치를 발견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중년기에 접어들면 그러한 가치들은 잠시 뒤로 미루어두고 내면의 가치와 정신적인 성장을 통하여 앞으로의 인생을 잘 살아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중년 우울증, 원인, 극복 방법

융에 따르면, 이 시기를 잘 넘어서지 못한 사람들은, 본인이 일하는 분야나 커리어에서 매우 큰 성공을 하고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항상 내면이 불안하고 인생에서 늘상 공허함을 느끼며 어느 순간 많은 것들이 그저 무의미하게 보이는, 이른바 우울증과 같은 증상을 보였다고 한다. 청년기를 열심히 보내고 어느 정도의 성공과 성과를 이루어낸 사람들은, 그러니까 목표 하나를 보고 열심히 달렸던 사람들은 그 목적을 달성하고 난 뒤 목적 달성에 쏟았던 힘이나 에너지가 갑자기 위축되었고 그 가치를 잃은 것처럼 느끼게 된다. 요즈음 현대 사회에서 직장인들이 많이 느끼는 번아웃이 예가 될 수 있겠다. 이런 무력감이나 우울감, 번아웃 등을 극복하려면 이전에는 자신의 목표를 위해 쏟았던 에너지를 이제는 내면의 가치를 찾아 거기에 쏟아야 한다. 융은 이런 시기에 본인의 내적 존재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한 명상이 외부 활동보다 더 중요하다고 하였고, 이렇게 자신의 내면을 발견하고 성찰하려는 노력을 통해 번아웃이나 우울증도 극복할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