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개인이 가진 불안감이 심각하게, 혹은 장기적으로 계속되는 경우 이 불안감은 단순한 내적 감정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신의학적 증상이나 생리학적 증상을 유발하는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불안이 적절하고 건강하게 이용된다면 이것은 인간 및 동물이 생존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러한 요인 중 하나가 투쟁-도피 반응이라고 한다.
불안감의 증상은 일상 증상과 급성 불안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장기적으로 일상 생활의 질을 떨어뜨리고 마음을 힘들게 하는 만성 불안이나 범불안장애를 포함하고, 급성 불안에는 급발성 스트레스성 공황 발작 등이 있다. 또 이러한 불안감은 우울과도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 지금도 끊임없이 밝혀지고 있다.
불안감을 느꼈을 때 나타나는 정신의학적인 증상
정신의학적인 불안감의 증상은 감정에 끼칠 수 있는 영향과 인지에 끼칠 수 있는 영향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앞서 말한 것처럼 불안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면 과거에 느꼈던 불안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일으키게 했던 어떤 상황으로부터 자신을 회피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불안감을 느꼈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수면 패턴이나 수면 습관이 변한다든지, 음식을 먹는 양이 변화하여 증가하거나 감소한다든지, 또 다리를 떠는 것과 같은 운동신경상의 긴장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불안함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면 감정적으로 다음과 같은 느낌들을 느낄 수 있다. 걱정이나 두려움이 생기고 집중력 장애를 동반하기도 한다. 긴장이나 경련이 생길 수 있으며, 부정적인 생각이 자주 들고, 예민해지고, 안절부절 못하기도 한다. 또 위험한 일이 생길 수 있다고 느껴지는 어떠한 징후를 계속해서 주시하거나, 혹은 막연히 어떤 위험한 일이 생길 것 같은 마음이 자꾸 드는 것, 또 마음이 텅 빌 것 같은 느낌도 불안에 영향을 받은 상태로 본다. 악몽이나 흉몽을 꾸는 것, 어떠한 감정에 지배당하고 있는 듯한 상태, 기시감(데자뷰), 마음에 뭔가 걸리는 느낌이나 갑자기 내 주변이나 내가 알고 있던 것이 무섭게 느껴지는 것(공포), 또 죽음이라는 것에 대해 이전보다 자주, 혹은 상식 이상으로 자주 느낀다거나 이것을 머리속에서 지우지 못하고 계속해서 생각하는 것 등도 불안감의 증상 중 하나이다.
불안할 때 몸의 증상
불안감으로 야기되는 생리학적 증상은 신경계통에서 비뇨기계통에 이르기까지 신체의 거의 모든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 몇 가지를 나열해 보겠다. 불안감을 느꼈을 때 우리도 이미 흔히 알고 있는 증상들이다. 신경계통에서는 두통, 지각이상, 섬유속연축, 현기증, 전실신증상 등이 있고, 소화기계통에서 발생하는 증상은 복통, 메스꺼움, 설사, 소화 불량, 입마름 등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우리가 긴장을 하거나 불안한 상황을 마주했을 때 한 번쯤은 겪어 본 증상들일 것이다. 그 외에도 두근거림이나 심계항진, 흉통 등은 심장계통에서 나타나는 불안감의 증상이라 볼 수 있겠고, 근육계통에서는 피로감이나 진전증, 비부계통에서는 발한이나 가려움도 동반한다. 숨이 차거나(숨참), 한숨 등도 불안감의 생리학적 증상일 수 있으며, 비뇨기계통에서는 빈뇨, 급뇨, 발기부전, 과민성대장증후군 역시 불안으로 야기되는 신체의 증상 중 하나일 수 있다고 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아웃 증상, 번아웃 테스트(MBI) (0) | 2023.02.05 |
---|---|
아동 분리 불안이란? 분리 불안의 원인과 증상, 등원 거부 (0) | 2023.02.04 |
불안감이란? 불안할 때, 공포와 불안 차이, 불안감 분야 (0) | 2023.02.03 |
욕구 불만의 원인, 정의, 유형, 증상, 예시 (0) | 2023.02.02 |
심리 검사 종류 (부모-자녀, 흥미검사, 적성검사 등), 테스트 보안 (0) | 2023.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