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교육심리학은 역시 심리학의 응용 분야 중 하나로, 누군가를 교육함에 있어 심리학의 방법이나 원리를 적용하고 응용하기 위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교육심리학에서 교육학을 다룰 때, 배경은 예상이 불가능한 교실로 정하고 심리학을 다룰 때는 통제된 실험실을 배경으로 한다. 심리학과 교육은 서로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다. 왜냐하면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에 관하여 과학적인 연구를 하는 학문이고, 또 동시에 인간의 정신 생활의 법칙을 탐구하고자 하는 연구가 바탕이 된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형성하는 것이 직접적인 교육과 맞닿은 부분이 아주 많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교육 현상에는 교육 활동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독특한 문제나 연구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교육 심리학은 더 엄밀히 정의하자면 교육이라는 현장에서 발생하거나 제기되는 문제를 심리학적인 입장과 방법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서 교육심리학이란 다시 말해, 아이가 태어나 성인이 될 때까지 교육적으로 발달이 진전하면서 개개인의 학습 경험을 기술하고 설명을 해 주는 과학적 심리학이기도 하다. 같은 맥락으로 교육 활동에 있어서 이렇게나 언제의 질문에 답을 주는 것이 또 교육심리학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심리학이 성립되려면 조건이 있는데, 그것은 교육이라는 것이 제기하는 문제와 현대심리학이 제시하는 원리와 방법 이렇게 두 가지이다. 따라서 교육심리학을 연구하려고 하는 사람이라면 현재의 교육 특성과, 또 그것이 심리학에서 어떤 맥락으로 해결 방법이나 방안을 찾으려고 하는지 그 문제를 파악하고 다른 면에서는 현대심리학의 입장이나 방법을 알아야 한다. 또한 교육심리학은 개인의 성격과도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왜냐하면 주변 환경에 따라서 사람은 각기 다른 성격을 가지게 되거나, 또 성격에 따라서 같은 교육을 받더라도 개개인의 생각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교육심리학에서 다루고 있는 연구 방법은 이렇다. 인간의 기능은 환경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 영역 또한 매우 넓을 것이다. 교육심리학은 인간을 다루는 학문이기 때문에 이것의 과학성은 상대적인 과학으로, 방법을 정할 때에는 숙련된 연구자가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것으로 해야 한다. 교육심리학의 방법 중 하나인 실험적인 방법을 예로 들면, 실험실 안에서 행해지는 실험과 실험실 밖에 있는 교육 현장의 실험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에 조건 통제 및 조작상의 장점을 살릴 수 있다. 교육심리학에서 다루는 구체적인 방법들은 다섯 가지가 있는데, 관찰법, 조사법, 검사 측정법, 임상 연구법, 교육 통계법이다. 우선 관찰법은 다시 자연적 관찰법과 실험적 관찰법, 내관법으로 나뉜다. 조사법은 질문지법과 진단목록법, 면접법을 포함하며, 검사측정법에는 표준화 검사나 투사법, 평정법이 포함된다. 일화기록법, 자서전 법, 작품분석법, 사례 연구법 등은 임상연구법에 포함된다. 또한 교육심리학 연구에서 새로운 접근법은 다시 여덟 가지의 접근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것은 방법상의 기본 측면으로 분류한 것이다. 첫 번째로 규범적 접근이란 특정 집단의 평균과 평균적인 변화 및 형태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접근법을 말한다. 이것은 횡단적 연구 방법과 종축적 연구 방법이 있다. 설명적 접근은 인간의 발달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의 기술과 발달상의 변화를 가져오는 결정적인 이유들을 찾아내고 발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자연적 접근은 우리의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반복적인 행동들을 단순히 그저 관찰하고 기술하는 접근이다. 조작적 접근은 우선 연구 목적이 있어야 하며, 그 목적에 따라서 어떠한 환경을 조작하거나 인간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접근법이다. 동시적 접근이란 현재의 환경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실의 서로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인데, 두 가지 이상의 현실을 바탕으로 한다. 역사적 접근이란 지금 발생하고 있는 인간의 어떠한 행동적인 특징들이 과거의 경험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찾는 것이고, 무이론적 접근은 인간의 심리적 특성을 그저 조사하고 기술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접근은 이미 제시되어 있는 이론을 중점적으로 도출된 가설을 검증하는 방법을 말한다. 교육심리학은 이전에 말한 것처럼 교육 현상이 갖는 사회적인 본연의 기능에 관하여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로, 영역이 광범위한 편이다. 사회 안에서 성장하며 발달하는 피교육자와 교육자 사이의 연관성과 작용을 교육 활동이라 한다면, 교육심리학은 교육의 장으로서의 사회 변화 현상의 문제(사회심리학), 교육을 받는 아동이나 학생들의 심리발달의 문제(발달심리학), 그리고 능률적이며 효과적인 학습 지도를 위한 교육 기술의 문제(학습심리학)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학자에 따라 분류를 조금씩 다르게 하기도 하였는데, 크론바흐는 인간의 모든 행동 과정을 학습의 관점에서 보았다. 또 다른 의견을 가진 학자는 스키너로, 성장과 발달, 학습, 성격과 적응, 측정과 평가, 교수와 지도로 이 분야를 분류했고, 게이치 등 또 다른 학자들은 발달, 학습, 측정과 평가, 성격과 적응 등으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처음으로 발달심리에 대하여 살펴 보자. 교육의 목적은 보통 피교육자의 옳고 바른 발달을 이루는 데에 있다. 아동 및 청년은 신체 및 정신적인 면에서 계속 성장하고 있으므로 그 발달 과정과 속도, 제반 행동 양식과 정신 능력의 발달 관계, 성숙과 학습의 기능, 행동의 변용과 쇠퇴, 새로운 행동 양식의 출현 등에 대해 교육적 측면에서 포괄적 연구를 진행하는 분야가 발달심리 분야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식과 무의식 2 (0) | 2023.01.19 |
---|---|
의식과 무의식 (0) | 2023.01.19 |
심리학의 분야 2-심리측정학(EBD, EBA), 행동신경과학, 임상심리학 (0) | 2023.01.18 |
심리학의 분야 1-문화심리학, 비교심리학, 진화심리학, 수리심리학, 계량심리학, 심리통계학, 심리측정 (0) | 2023.01.18 |
심리 검사-로르샤흐 검사, 게슈탈트 검사, 문장완성검사, SCT (0) | 2023.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