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아이 콤플렉스 뜻, 특징, 눈치 많이 보는 이유, 어린이 우울증
착한아이 콤플렉스는 일본의 가토 다이조가 제안한 신조어로, 그가 집필한 자녀 교육서인 <착한 아이의 비극>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이것은 아이들이 다른 어른들이나 사람들에게 착한 아이라는 말이나 반응을 듣기 위하여, 본인 내면의 욕구나 소망을 억압하는 말이나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콤플렉스는 어린 아이가 유기 공포를 자극당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어린이라면 가지고 있는 유아적 의존욕구를 거부하고 억압하는 방어기제에 의해 생기게 된다. 이것이 올바로 해결되지 못하고 성장한 어른은 계속 이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기도 하는데, 그때는 착한 여자, 착한 남자, 좋은 사람등의 평가에 집착하게 되기도 한다.
1. 착한아이 콤플렉스 특징-성인
우리 사회에서 아이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주로 말을 잘 듣고 착한 아이는 좋은 아이, 그리고 말을 잘 안 듣고 착하지 않은 아이는 나쁜 아이로 규정하곤 한다. 하지만 이런 것은 타인의 판단을 절대적으로 내면화한 것으로, 이러한 규정이 마음속에 생기는 이유는 사랑받기 위해서 또는 버림받지 않기 위해서는 착하게만 굴어야 한다라는 믿음이 바탕이 된다. 특히 어린이들 마음속에서 이런 믿음은, 자신이 놓인 어떠한 상황에서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것이 제대로 해소되지 못하고 어른이 되면 그대로 고착화되어 늘 이러한 생각과 믿음을 지니고 살아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이 되어서도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고, 또 남이 하는 말에 늘 집중하며, 갈등 상황을 피하려고 남의 요구에 그저 순응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무엇보다 남들에게 자신이 착하게 굴고 있는지, 또 남들도 자신을 착한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는지 계속해서 눈치를 보며 살게 되고 그것을 확인받고 싶어 한다. 그러기 위해서 자신 스스로 느끼거나 가지고 있는 욕구나 느낌은 억압하게 되며, 남들에게 향한 투사나 반동 형성 등의 행동이 뒤따르면서 내면은 위축되고 우울감도 느낄 수 있다.
2. 착한아이 콤플렉스 특징-어린이, 아동, 어린이 우울증, 폭력적인 아이
앞서 언급한 가토 다이조에 따르면, 본인의 책 <착한 아이의 비극>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어린이들이 착한아이 콤플렉스를 가지기 쉽다고 하였으며, 또 이러한 특징들을 착한아이 콤플렉스의 특징으로 보았다. 우선 남의 눈치를 많이 보고 신경질적인 아이들은 자신 그대로를 있는 그대로 인정해 주지 않는 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 이러한 모습을 보인다. 또, 부모로부터 감정을 억압당하는 상태에 있는 아이들은 싫은 것을 싫다고 잘 말하지 못하고, 습관적으로 자기 탓을 하면서 죄의식이나 죄책감을 갖는 아이들도 있는데 이것은 부모가 지배적이거나 자기애가 강하여 아이에게 모든 일이 아이 탓이라는 생각을 주입시키는 양육을 할 때 나타난다. 이러한 아이들은 자책이나 변명을 하는 데에 익숙해진다. 착한아이 콤플렉스는 앞서 말했듯이 우울감, 우울증으로도 나타날 수 있는데 이것은 아이들도 동일하다. 분열증 아이들은 어리광을 피울 줄 아는데, 착한아이 콤플렉스를 가진 아이들은 어리광을 잘 부리지 못한다. 부모로부터 어리광은 좋지 않다는 교육을 강하고 지속적으로 받았다거나, 이러한 교육 없이도 부모가 본인이 어리광을 부려도 되는 대상이라는 신뢰가 없을 경우도 해당한다. 또, 반대로 어리광은 본래 아이가 어른에게 부려야 하는 것이지만 오히려 부모가 자신의 힘든 상황이나 외로움 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아이를 지배하려고 하고 아이에게 어리광을 부리는 경우에도 이러한 콤플렉스가 나타날 수 있다고 한다. 세상에 불신이 생긴 아이도 이러한 콤플렉스를 가질 수 있다. 이런 아이들은 자신이 버림받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어릴적 어머니로부터의 무조건적인 신뢰를 받은 경험이 없어서 삶이나 사회, 세계에 가지는 불신으로부터 시작된다. 자기 의견 없이 어른의 말에 무조건적으로 순종하는 경우도 보인다. 이것은 남의 의견에 반박을 하거나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고, 또 상대방이 미워 마땅한 상황이어도 누군가를 미워하는 것을 거부하곤 한다. 그래서 이런 아이들은 자기 의견을 잘 표출하지 못하며 성인이 되어서도 그저 착하게 살아가려고 한다. 세상을 두려워하거나 자기 자신을 두려워하는 아이도 착한아이 콤플렉스가 나타날 수 있다. 이것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부모가 아이에게 정 없는 태도를 보인다거나 하는 등의 행동으로 자녀가 본인의 욕구 충족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부모와의 관계가 나빠질 때 일어나며, 어릴 적 위험한 상황에 놓였을 때 보호자가 그것을 모르는 척했던 경험으로부터 배신감을 느낀다거나 버려진 느낌을 받은 경우로 볼 수 있다.
착한아이 콤플렉스는 아이가 폭력을 사용하는 것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강압적인 부모나 보호자에게 복종하는 것으로 자신이 가진 부모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거나 또 인정받으려고 하던 아이가, 부모에 대한 억압을 어느 순간 떨쳐 버리게 되면서 부모를 공격하고 폭력을 휘두르는 방식으로 이것을 해소하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고, 또 이런 행동으로부터 애정이나 인정을 받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가토 다이조는 부모가 너무 자기애적이라거나 지배적이어서 자녀,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방치하고 부모 자신의 의지를 강요하면서 어린 아이의 유기 공포나 유기 불안, 즉 자신이 부모에게서 버려질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지게 되고, 이로부터 본인의 감정을 잘 표출하거나 욕구를 실현할 줄 모르게 되며 자기 자신의 가치관이나 목표를 스스로 설정하고 실현하기 위해 본인의 의지대로 행동하지 못하고 그저 부모의 뜻대로만 성장하게 되는 것을 착한아이의 문제, 착한아이 콤플렉스라고 보았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콤플렉스 종류-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뜻,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원인, 여자아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0) | 2023.02.15 |
---|---|
자존감이란, 자존감 뜻, 자존감 높이는 방법, 자존감 발달, 자존감 높은 사람 특징, 자존감 낮은 사람 특징 (0) | 2023.02.14 |
콤플렉스 뜻, 정의, 콤플렉스 종류, 칼 융 콤플렉스 이론 (0) | 2023.02.12 |
MBTI N S 차이, 직관형 감각형 차이 (0) | 2023.02.11 |
색채 심리학이란, 색채 심리학 뜻, 역사, 색상 마케팅, 브랜딩, 미술치료, 색채심리치료 (0) | 2023.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