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플렉스는 칼 융이 세상에 널리 알린 개념으로, 개개인의 자아가 안정되는 데에 대한 위협 반응이다. 정신분석학적으로는 충동과 정반대의 개념으로 보고 있으며, 감정이나 기억, 희망, 인식 등의 개념들이 한데 묶여서 권력이나 지위 같은 주제로 객관화되는 무의식의 구조라고 한다. 콤플렉스의 종류에는 아주 여러가지가 있으며, 융 외에도 다른 학자들의 지속적인 연구가 계속되어, 심리치료나 기술 등의 방면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1. 콤플렉스 뜻, 콤플렉스 정의
콤플렉스는 영어로 복잡하거나 복합이란 뜻의 Complex와도 같은데, 이것은 정신분석학의 개념으로 보았을 때 개개인이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서로 다른 구조의 힘을 이야기한다. 다시 말해 감정 복합을 이야기한다. 어느 상황에 처했을 때 그 일과는 무관한 감정들이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심리적 복합체라는 말로도 설명된다. 이러한 콤플렉스는 그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세상을 조금 덜 객관적으로 보게 만들고, 또 이것이 얼마나 심하느냐에 따라서 점점 더 어떠한 상황을 중립적으로, 또 객관적으로 보는 것이 힘들어지게 되며 그래서 개개인의 생각이나 감정,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긍정적으로 발현되면 삶을 살아 가는 데 있어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한다. 콤플렉스는 개인만이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데, 이것이 더 나아가 어떠한 집단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집단의 콤플렉스, 사회의 콤플렉스로 확장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여성에게, 혹은 남성에게 여자다움을 강요하고 남자다움을 강요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집단, 사회의 콤플렉스라 볼 수 있겠다.
2. 콤플렉스 종류
콤플렉스의 종류에는 매우 여러가지가 있는데, 여기에서 설명되는 콤플렉스들은 주로 가족, 부모, 자식, 또 형제간에 존재하는 콤플렉스들이 많다. 우선 아이가 아버지나 어머니에게 비정상적일 만큼 심하게 애착을 가지는 것은 파더 콤플렉스, 마더 콤플렉스라고 하며, 또 이와는 반대로 딸이 어머니에게 갖는 대항심은 엘렉트라 콤플렉스, 아들이 아버지에게 갖는 대항심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 한다. 이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그리스 여왕인 엘렉트라 여왕(그리스 비극으로, 부왕을 죽인 어머니에게 복수하는 내용)의 이름에서 따왔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역시 그리스 비극에서 따왔는데, 부왕을 죽이고 자신의 어머니와 결혼한 오이디푸스의 이름에서 따왔다. 형제나 자매에게 너무 심하고 비정상적인 애착을 가지는 브라더 콤플렉스와 시스터 콤플렉스, 또 형제 자매 사이에 부모의 사랑을 두고 갈등이 생기는 카인 콤플렉스도 있으며, 자식이 부모에게 느끼는 콤플렉스와는 반대로 부모가 자식에게 콤플렉스를 느끼는 경우도 있는데, 아버지가 아들을 증오하는 아브라함 콤플렉스나, 어머니가 딸을 증오하게 되는 백설공주 콤플렉스등도 있다. 우리가 문학으로도 많이 들어 본 로리타 콤플렉스는 소녀에 대한 비정상적 애착을 가지는 것을 말하며, 이것이 소년으로 발현된다면 쇼타로 콤플렉스가 된다. 내 내면과 관련되어 있는 콤플렉스도 있는데, 이것도 널리 알려진 착한 아이 콤플렉스나 열등감 콤플렉스 등이 있다. 특히 착한 아이 콤플렉스는 어린이에게서 나타나며, 착한 아이로 보이기 위해서 본인의 욕구를 억압하는 말이나 행동을 비정상적으로 반복하는 것이다.
3. 칼 융의 콤플렉스 이론
칼 융은 이 콤플렉스 이론을 의식과 무의식, 초자아와 이드 등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칼 융은 어떠한 부분에서는 억압되어 있지만, 그 자체로 의식을 가지고 있는 "나 자신"과 분리되어 있거나 또 그와 상충하는 어떠한 작용을 설명하는 데에 이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융의 이론에서 콤플렉스란 감정적으로 강하게 강조되는 어떠한 심리적 상황의 이미지이고, 또 의식이 가진 어떤 습관적인 태도와도 양립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콤플렉스는 아주 강력한 내적 일관성을 가지고 있고, 일부는 자아에게서 힘을 빼앗기도 해 신경증을 유발하고 심리적 장애나 증상까지 유발할 수 있다고 한다. 칼 융은 콤플렉스가 우리를 너무 압도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하였다. 콤플렉스가 심해지면 의식이 통합되지 않고 의지의 의도가 방해되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으며, 개개인의 기억 역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존감이란, 자존감 뜻, 자존감 높이는 방법, 자존감 발달, 자존감 높은 사람 특징, 자존감 낮은 사람 특징 (0) | 2023.02.14 |
---|---|
착한아이 콤플렉스 뜻, 특징, 눈치 많이 보는 이유, 어린이 우울증 (0) | 2023.02.13 |
MBTI N S 차이, 직관형 감각형 차이 (0) | 2023.02.11 |
색채 심리학이란, 색채 심리학 뜻, 역사, 색상 마케팅, 브랜딩, 미술치료, 색채심리치료 (0) | 2023.02.10 |
MBTI 외향성과 내향성 특징, 성격, 차이, E I 차이 (0) | 2023.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