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소나의 원래 뜻은, 연극에서 어떠한 특정 역할을 맡은 배우가 연기를 하기 위해 썼던 가면이다. 인물이라는 뜻의 person이나, 인격을 뜻하는 personality도 이 페르소나라는 단어를 어원으로 한다. 심리학에서 페르소나는 개개인이 세상에 드러내는 사회적인 얼굴, 다시 말하면 타인에게 어떠한 인상을 주기 위하여 말하고 행동하는 일종의 가면으로 보고 있다. 심리학자인 칼 융은 이 페르소나에 대하여 깊게 연구하기도 하였다.
1. 페르소나 뜻과 정의
앞서 말한 것처럼 페르소나는 심리학 용어 중 하나로, 남에게 비춰지는 개개인의 외적 성격을 말한다. 페르소나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심리학에 끌고 와 심리학적 용어로 사용하게 된 것은 칼 융이었다. 융에 따르면 인간은 천 개의 페르소나, 즉 천 개의 사회적 가면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상황마다 적절한 페르소나를 사용하여 사회적 관계를 이룬다고 한다. 이런 겉모습에는 사회의 인정을 받거나 남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싶고, 그렇게 만들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2. 사회적 가면
인간은 생존을 위하여 이런 페르소나, 사회적 가면을 적절히 이용한다. 융이 주장한 대로 인간에게 천 개의 페르소나가 있다면, 내가 싫은 사람과의 관계나 상황에서도 그에 맞는 적절한 페르소나를 사용해 표면적으로나마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개인적인 사회적 업적이나 어떠한 이득에 도움을 주기도 하며, 함께 어울려 살아가야 하는 사회생활과 공동생활에 밑바탕이 되기도 한다.
페르소나의 역할이 큰 사회생활은 역시 회사 생활을 들 수 있겠다. 우리가 직장을 다니게 되면, 우리는 어느 정도 내 직장이 요구하는 내 모습대로 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내가 맡은 직무가 영업직이라면 내 실제 모습이 어떻든간에 사람들과 잘 어울리고, 외향적으로 보여야 할 것이고, 내 직무가 꼼꼼함을 요구하는 직무라면, 덜렁댄다는 인상보다는 철두철미하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 직장 동료나 상사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내가 실제로 상대방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와는 상관없이 겉으로는 그들과 잘 지낼 수밖에 없게 되는데, 융은 이러한 성격과 성질 역시 페르소나의 일부라고 보았다. 또 앞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업적이나 이득을 위해서도 이런 페르소나는 필요하다. 결국 회사에서의 사회적 가면을 적절히 잘 사용하지 못한다면 직장에서 좋은 인상을 주기 힘들게 되거나,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3. 페르소나의 예시, 유해한 점
페르소나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 더불어 살거나 직장을 다니면서, 또 남들을 대할 때 적절히 사용되면 매우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또 너무 과하거나 부적절하게 사용될 경우 유해한 결과를 낳기도 한다.
예를 들면 우리는 각 상황에 맞추어 여러 가면을 바꾸어 쓸 줄 알아야 진정 페르소나를 제대로 이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인데, 어느 특정한 한 역할에만 몰두하여 본인의 자아를 그 역할에 동일화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인격의 다른 측면들에 소홀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 강단 있고 똑부러지며, 엄한 상사로 평가받는 사람이 있다고 하자. 실제로 마음은 따뜻하고 정이 많고 우유부단하기도 한 편이지만 오랜 직장 생활 끝에 자신의 이미지를 이렇게 만들었다. 모든 일에 철두철미하고, 감정보다는 이성으로 판단을 내리며, 팀원들에게 긴장감을 주기 위해 모든 일을 원칙대로 처리하고 실수도 용납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사람이 이런 페르소나에 압도되다 보면, 이 페르소나만이 지나치게 발달하게 되고 이것은 상대적으로 덜 발달된 인격의 다른 부분과 갈등을 일으켜 본성과는 거리가 멀어지며 그에 따라 늘 긴장감을 가지고 살게 된다. 또, 이렇게 본성을 누르고 하나의 페르소나에만 치중하게 될 경우 본인 스스로는 자신이 그 역할을 굉장히 잘 해내고 있다는 지나친 자존감을 갖게 되기도 하여 남들에게 그것을 강요하기도 한다. 위에서 말한 직장 상사 같은 경우, 본인의 역할과 이미지를 부하 직원에게도 강요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해망상, 편집성 성격장애, 증상, 자가진단, 원인, 치료 (0) | 2023.03.09 |
---|---|
해리성 정체성 장애, 이중인격, 다중인격, 뜻, 원인, 사례, 증상 (0) | 2023.03.06 |
감정노동, 감정 노동 직종, 마음이 힘들 때, 무료 심리 상담,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직 심리 상담, 감정 노동 심리 상담 (0) | 2023.03.02 |
엔도르핀(엔돌핀)이란, 엔도르핀 뜻, 효과, 작용, 스트레스 심할 때, 운동과 엔도르핀, 러너스 하이 (0) | 2023.03.01 |
우울증, 우울감 우울증 차이, 우울증 원인, 증상, 자가 진단 (0) | 2023.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