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우리가 흔히 이중인격이나 다중인격이라고 표현하는 정신질환 중 하나이다. 이 정신질환은 매우 희귀해서 실제로 존재하느냐 아니냐의 여부를 두고도 논란이 존재하기도 하는데, 우선은 정신의학과 심리학에서 모두 다루고 있기는 하다. 정체성 결여의 문제나, 어떠한 정신적 충격을 받은 뒤에 그것이 이유가 돼서 개개인이 가진 원래 기억이 해리(분리)되게 되고, 그렇게 분리된 기억이나 정체성을 가진 다른 자아로 마치 다른 사람처럼 행동하게 되는 증상이다.
1. 해리성 정체성 장애 원인
우선 해리성 정체성 장애에서 해리라는 것은, 정상 수준의 주의력 결핍부터 장애라고 진단될 수 있는 어떠한 특정 기억의 붕괴로 오는 데에 발생하는 수많은 경험을 이야기한다.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발병 원인은 매우 복잡하다고 하는데, 심리사회적인 원인으로는 발달상에서의 외상이나 사회인지적 후유증을 포함하고, 생물학적 요인에는 어떠한 외상으로 인한 신경생물학적 반응이 포함된다. 유전학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기는 하나, 보통 어린 시절에 경험한 매우 힘든 일이나 트라우마, 역경 같은 것과 관련되어 있는 유전적인 요인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진단 매뉴얼 중에는 어린 시절의 압도적인 경험이나 충격적인 사건, 또는 학대와 관련이 있다고 명시된 항목이 있기도 하다.
2. 해리성 정체성 장애 사례
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앞에서 말한 것처럼 매우 희귀한 정신질환이기 때문에 그 사례를 찾는 것도 쉽지 않은데, 서울대학교 임상 상담 심리학 연구실에서 연구한 사례 하나를 소개한다. 평범하게 살던 35세 사회봉사요원 A씨의 사례다. 팔에 만성적인 통증이 있어 진료를 받으러 갔다가 심리검사를 하게 되었는데, A씨는 이러한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퇴근할 때에는 차에 연료가 가득 차 있었는데, 다음 날 아침에는 연료가 반쯤 비어 있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런 경험이 반복되었다. 또, 연료가 줄어들었을 뿐만 아니라 A씨의 차 주행 기록에 25km 정도를 주행한 기록이 남아 있었던 적도 있는데, A씨는 아예 그 시간대에 차를 운전한 적이 없었다. 팔의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최면 치료를 몇 달간 실시하게 됐는데 그 최면 치료 중 잊어버린 기간에 대한 질문을 하자, A씨는 평소와는 전혀 다른 목소리로 '이제는 나를 알아차릴 때가 됐는데'라고 답했다고 한다. Z라는 또 다른 인격이 밤마다 기분 전환을 하기 위해서 드라이브를 했다고 진술한 것이다. A씨 안에 존재하는 이 두 개의 인격은 서로 상반되는 성격과 기질을 가지고 있었는데, 평소 A씨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가 많았지만 Z는 적대적인 성향을 보였다. 이것을 치료하는 과정 중에 서로 다른 6개의 인격이 차례로 등장했고, 이 인격들은 서로간에 상당한 긴장과 반목을 보이기도 했다. 의식 위로 나타나기 위해 자주 경쟁을 하게 된 것이다. 6개의 인격 중 하나의 인격은 스스로 목숨을 끊겠다고 위협한 적도 있으며, 그것에 대해서 치료자가 다른 인격과 상의하겠다는 의견을 내자 그것을 매우 반대하기도 했다. 치료 과정은 4년에 걸쳐 계속되었고 치료를 하면서 A씨는 여러 인격들을 통합시켜 나가기는 하였지만, 비슷한 성격을 가진 인격들은 성공적으로 통합할 수 있었던 반면, 여전히 부분적으로는 해리 상태를 가지고 있었다.
해리성 정체성 장애는 보통 자신의 욕구를 다른 인격을 통해 해소하고 자신의 자의식을 보호하기 위한 자기방어 수단으로 볼 수도 있다고 한다. 보통 자신이 원래 가지고 있는 욕구 중에서, 현실에서는 받아들여질 수 없거나 자제해야 하는 욕구가 표면으로 떠오르는데, 그렇기 때문에 각기 다른 인격이 가진 성격이나 기호는 서로 완전히 반대에 가까울 만큼 차이를 보인다.
3. 해리성 정체성 장애 증상
해리성 정체성 장애의 증상 중 대표적인 것은 앞에서 살펴본 사례처럼, 정상적인 기억과는 다르게 내가 기억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단순히 핸드폰을 어디에 놓았는지 잊는다거나 가스불을 끄지 않는 것, 무언가 자주 까먹는 것 같은 건망증과는 차이가 있는데, 술을 너무 많이 마시고 소위 말하는 필름이 끊겼다는 상태처럼 어떠한 특정 기간이나 사건, 또는 사람에 관련된 정보에서 아예 기억 상실이 나타나는 것이다. 또, 정체성이 흐릿하다고 느껴지거나 정서적, 또는 직업적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고, 주변 사람이나 사물이 왜곡되어 보이거나 비현실적이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고 한다. 증상이 심해지면 우울증이나 불안, 심하게는 자살 생각이나 행동 같은 다른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해망상, 편집성 성격장애, 증상, 자가진단, 원인, 치료 (0) | 2023.03.09 |
---|---|
페르소나 뜻, 정의, 사회적 가면, 페르소나 예시, 유해한 점 (0) | 2023.03.05 |
감정노동, 감정 노동 직종, 마음이 힘들 때, 무료 심리 상담, 온라인 심리 상담, 서비스직 심리 상담, 감정 노동 심리 상담 (0) | 2023.03.02 |
엔도르핀(엔돌핀)이란, 엔도르핀 뜻, 효과, 작용, 스트레스 심할 때, 운동과 엔도르핀, 러너스 하이 (0) | 2023.03.01 |
우울증, 우울감 우울증 차이, 우울증 원인, 증상, 자가 진단 (0) | 2023.02.28 |
댓글